재테크 시리즈 1편: 사회초년생 월급관리, 3통장으로 시작하는 재테크 첫걸음
재테크 시리즈 1편: 사회초년생 월급관리, 3통장으로 시작하는 재테크 첫걸음
"월급은 스쳐 지나간다"는 말, 공감되시죠? 재테크는 큰돈이 있어야 시작하는 것이 아닙니다. 지금 내 통장에 들어오는 월급을 어떻게 분리하고 관리하느냐가 핵심이에요.

1. 월급은 자동으로 3곳에 흘러가도록
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는 단순합니다. 모으려는 구조가 없기 때문이죠. 아래처럼 통장을 세 개로 나누어 자동이체를 설정해보세요.
- ① 생활비 통장: 한 달 소비 예산만 이체, 체크카드 연결
- ② 고정지출 통장: 월세, 보험료, 공과금 자동이체
- ③ 저축/투자 통장: ETF, 예금, 비상금 등 장기자산용
👉 핵심: 월급일 다음 날 자동이체 설정!
2. 소비 습관은 가계부 앱으로 파악
돈이 새는 이유는 "적게 벌어서"가 아니라 어디에 쓰는지 모르는 것 때문입니다. 가계부 앱으로 흐름부터 체크해보세요.
- 자동 수집 기능으로 연결 (뱅크샐러드, 토스 등)
- 커피, 배달, 편의점 항목 자주 등장하면 경고!
3. ETF로 소액 분산투자 시작
적금만으로는 자산 성장에 한계가 있어요. 1만 원으로도 ETF 투자가 가능하니 부담 없이 시작해보세요.
- 예: KODEX200, TIGER S&P500 등 국내/해외지수 ETF
- 매달 5~10만 원 자동이체 설정 추천
4. 목표가 있어야 돈이 모입니다
漠然한 저축은 오래가지 않습니다. 아래처럼 단계별 목표를 세워보세요.
목표 구분 | 예시 액션 |
---|---|
단기 | 비상금 100만 원 만들기 |
중기 | 월 50만 원 자동저축 설정 |
장기 | 3년 내 전세자금 3천만 원 모으기 |
재테크는 '돈의 크기'보다 '흐름의 구조'가 먼저입니다. 월급이 들어오는 순간부터 목적지별로 나누는 습관을 만들면, 돈은 자연스럽게 모입니다.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