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테크 실전편 4편 – 청년 정책상품 활용법
재테크 실전편 4편 – 청년 정책상품 활용법
청년 정책상품을 이용해야 하는 이유? 사회초년생 시기는 자산이 부족하고 고정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, 정부와 공공기관의 정책상품을 활용하면 단기간에 목돈을 만들고 주거·소득 기반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. 특히 절세, 정부 지원금, 저금리 대출 등의 혜택은 민간 금융상품에서 찾기 어려운 수준입니다.
정부와 공공기관은 청년층을 위한 다양한 정책 금융상품을 제공합니다. 이 중 조건만 맞으면 꼭 챙겨야 할 핵심 상품 6가지를 정리했습니다. 신청 자격과 실제 혜택, 신청처까지 실전 중심으로 안내드릴게요.
1️⃣ 청년내일채움공제
- 대상: 중소기업 재직 청년 (정규직, 고용보험 가입 必)
- 혜택: 본인 300만 원 납입 → 정부·기업 총 1,200만 원 지원
- 총 수령: 1,500만 원 (2년 만기)
- 👉 워크넷 참여신청
- 👉 중진공 청약 바로가기
2️⃣ 청년도약계좌
-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- 혜택: 월 최대 70만 원 납입 시 정부 매칭 → 최대 5천만 원 수령
- 비과세 + 소득공제 혜택 포함
- 👉 서민금융진흥원 신청 페이지
3️⃣ 청년 전·월세 대출
- 대상: 무주택 청년,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- 지원: 전세 최대 7천만 원, 월세 월 50만 원까지
- 금리: 1.2~2.7%
- 👉 기금e든든 신청 바로가기
4️⃣ 청년희망적금
- 대상: 근로·사업소득 청년 (연 3,600만 원 이하)
- 혜택: 월 30만 원 납입 → 정부 2년간 최대 144만 원 지원
- 비과세 + 소득공제 가능
- 👉 서금원 신청 안내
5️⃣ 청년월세 특별지원
- 대상: 월세 70만 원 이하 거주 청년 (연소득 5천만 원 이하)
- 지원: 월 20만 원씩 1년간 지원 (최대 240만 원)
- 👉 복지로 온라인 신청
6️⃣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
-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세대주
- 혜택: 전세자금 최대 7천만 원, 저금리(1.2~2.1%)
- 👉 기금e든든 신청 페이지
📋 신청처 요약표
정책상품 | 신청처 |
---|---|
청년내일채움공제 | 워크넷, 중진공 |
청년도약계좌 | 서금원 또는 시중은행 |
청년 전·월세 대출 | 기금e든든 |
청년희망적금 | 서금원 |
청년월세 특별지원 | 복지로 |
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| 기금e든든 |
청년 정책상품은 조건만 맞는다면 목돈 마련과 주거 안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. 매년 갱신되는 정보이므로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!
댓글
댓글 쓰기